본문 바로가기

아트스페이스 광교 <Be 정상>

아트스페이스 광교 <Be 정상> 상세보기 - 행사기간, 행사장소, 포스터, 상세내용
행사기간 2021-03-16 ~ 2021-06-06
행사시간 10:00 ~ 18:00
행사장소
수원컨벤션센터
아트스페이스 광교 <Be 정상>
주차시설 유 1099 대
연락처 031-228-4195
행사개요 수원시립미술관 아트스페이스 광교에서 개최되는 기획전으로 80년대 생 작가 5인의 작품 전시와
작가로서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함께 동반됐던 삶의 여정을 아카이브로 공개한다
행사내용
Be정상에서: 스타트 업(業)
 
“좋아하는 일 하는데 그 정도는 감수해야지!”라는 말에는 결국 좋아하는 것을 직업으로 선택하지 않아야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우여곡절 끝에 예술가가 되었더라도, 생계를 위한 다른 직업을 구해야 한다. 모두가 당연한 듯 ‘그것이 현실’이라며 좋아하는 일을 업(業)으로 삼은 자의 업(業)으로 여긴다.
 
왜 힘든 예술가의 삶을 지속하는가? 작가들의 대답은 재미없고 익숙하다.
“그냥,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시간과 도움에 감사하면서, 스스로 책임지고 끝까지 최선을 다할 뿐이에요.”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이 정직한 답변에 우리는 스스로 다시 되묻는다. 정상적인 삶이란 무엇인가?
 
2021년, 아트스페이스 광교에서 열리는 《Be정상》은 Be(To be:~가 되고자 하는/非:아니다)와 정상(正常:온전한 상태/頂上:꼭대기)이라는 단어들 각각의 의미는
조합에 따라 다층적인 의미를 만들어낸다. 이번 전시는 ‘정상에 오르고 싶은(To be 頂上) 예술가’이자 ‘아직 정상에 오르지 않은(非頂上) 예술가’를 주목하고
‘예술가라는 직업이 유지되는 비정상(非正常)적 구조’와 ‘정상(正常)의 기준과 의미’를 고민한다.
 
전시장에는 권혜경, 김양우, 서유진, 이태강, 정덕현 총 다섯 작가의 작품과 삶의 기록이 있다. 예술가들이 ‘스스로의 정상’으로 향하는 과정을 통해,
관람객에게 자신만의 정상을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요금정보 무료
주관기관 수원시립미술관
주최기관 수원시립미술관
객석수 0 석
홈페이지 http://suma.suwon.go.kr/
도로통제 없음
포스터
정덕현 권혜경 김양우 서유진 이태강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디지털정책과
  • 전화번호 1899-330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 수원시청이 창작한 행사축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