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원시 유래와역사

수원에서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우리나라에서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70만 년 전부터다. 그렇다면 수원에서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그것은 대략 25~20만년 전부터였을 것으로 보인다. 수원의 지동과 이의동에서 중기 구석기시대〔(25-20만 년 전)~4만 년 전〕로 추정되는 긁개와 여러면석기, 몸돌, 격지 등이 채집되었고, 고색동유적․파장동유적과 옛 수원에 속했던 화성 대야미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시대 후기와 후기 구석기시대(4만 년 전~ 1만 년 전)의 여러면석기 및 긁개, 밀개, 홈날, 주먹대패, 찌르개, 몸돌 등이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화서동 꽃뫼유적․율전동유적과 광교신도시부지내(용인 상현동) 유적, 옛 수원이었던 화성 동학산유적 등지에서 신석기시대〔1만 년 전~(B.C 2,000-1,500년)〕의 빗살무늬토기편이 채집되어 수원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아왔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의동 출토 구석기시대의 석기
이의동 출토 구석기시대 석기
화서동 꽃뫼유적 모습
화서동 꽃뫼유적의 모습

광교신도시부지내 유적 신석기시대  집자리 전경
광교신도시부지내 유적 신석기시대  집자리 전경

광교신도시부지내 유적 출토 신석기 빗살무늬토기
광교신도시부지내 유적 출토 신석기 빗살무늬토기

수원의 첫 이름 모수국

철기시대(원삼국시대 포함)가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한반도 중남부 일대에는 수많은 소국이 성립되었고 이들은 삼한을 구성했다.『삼국지 위지 동이전(三國志 魏志 東夷傳)』「한조」(韓條)에는 삼한 소국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삼한은 크게 마한, 진한, 변한으로 나뉘는데 수원지역은 마한에 속했고, 마한의 54개 소국 가운데 경기도 일대에는 모수국(牟水國), 원양국(爰襄國), 상외국(桑外國) 등의 소국이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모수국이 수원 일대의 소국으로 추정되는데 '모수'란 이름이 '벌물'의 뜻을 갖는 것으로 지금의 '수원(水原)'의 뜻인 '물벌'과 글자 순서가 바뀌었을 뿐, 뜻이 같기 때문이다. 이후 수원의 이름은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등으로 바뀌었는데 이름에 항상 '물'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매홀의 의미는 무엇일까?

삼국시대에 들어와서 수원지역을 최초로 차지했던 국가는 백제였다. 백제는 3세기 중엽 고이왕 때에 이르러 급격히 발전하여 4세기 중반 근초고왕 때에는 고대 국가체제를 완성하여 지금의 경기도지역 대부분이 당시 백제의 영토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고구려의 남하정책으로 한강유역과 수원을 포함한 그 주변지역은 고구려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이때 수원의 고유 지명은 '매홀'이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권25, 잡지4 지리2에 "수성군 본고구려 매홀군 경덕왕 개명 금 수주(水城郡 本高句麗 買忽郡 景德王 改名 今 水州)"라 기록되어 있다. 수성군은 본래 고구려(삼국시대) 매홀군(買忽郡)이라 불렸는데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 수성군(水城郡)으로 개칭되었다는 것이다. 매홀에서의 '매'는 '물'을, '홀'은 '고을'을 나타내는 말로 '매홀'은 '물고을'이라는 발음의 표기로 추정된다.
수성군은 고려 건국 초인 940년(태조 23) 수주(水州)로 승격되고, 1271년(원종 12) 수원도호부가 설치되면서 '수원(水原)'이라는 명칭은 처음 등장한다. 한자식 지명인 '수성', '수주', 수원' 등의 명칭은 모두 '매홀' 즉 '물고을'에서 유래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수원부-수원군-수원부 등으로 변화를 거듭하다 조선시대에 와서 수원도호부-수원군-수원부-화성유수부-수원군 등으로 바뀌면서 1949년 8월 15일 수원시로 정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동지도(수원부) 海東地圖(水原府) 1750년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해동지도(수원부) 海東地圖(水原府)
1750년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삼국사기 지리지 수성군조 三國史記 地理志 水城郡條
삼국사기 지리지 수성군조
三國史記 地理志 水城郡條

수원의 역사 개요

수원의 역사 개요 (시대, 연혁, 관련유적지 순으로 안내를 시작합니다.)
시대 연혁 관련유적지
선사시대 중기 구석기
(25-20만 년 전) ~ 4만 년 전〕
  고색동유적, 지동유물산포지, 이의동유물산포지 등
후기 구석기
(4만 년 전 ~1만 년 전)
  파장동유적, 화성 대야미리유적 등
신석기
(1만 년 전 ~ B.C 2,000-1,500년)〕
  화서동 꽃뫼유적, 율전동유적, 광교신도시부지내(용인 상현동) 유적, 화성 동학산유적 등
청동기~원삼국
〔(B.C 2,000-1,500년) ~ A.D 300년〕
모수국 서둔동 여기산유적, 율전동유적, 이목동유적, 호매실지구 유적, 화성 동학산유적, 화성 천천리유적 등
삼국시대 한성백제[(B.C 18년 ~ A.D 475년)]   화서동 꽃뫼유적, 화성 기안리유적, 화성 발안리유적, 화성 마하리유적, 화성 고금산유적 등
고구려
(475년 ~ 553년)
475년(장수왕 63) 매홀군  
신라
(553년 ~ 668년)
553년 신주 설치
557년 북한산주 설치
561년 남천주 설치
이목동유적, 광교지구 내 유적 등
통일신라시대
(668년 ~ 935년)
685년 한산주
757년(경덕왕 16) 한주(수성군)
이목동유적, 금곡동유물산포지, 인계동유물산포지, 구운동유물산포지, 광교신도시부지 내 유적 등
고려시대
(918년 ~ 1392년)
940년(태조 23) 수주 승격
1271년(원종 12) 수원도호부 승격
1308년(충렬왕 34) 수주목 승격
1310년(충선왕 2) 수원부 격하
1362년(공민왕 11) 수원군 강등
1366년(공민왕 15) 수원부 승격
미학사지, 창성사지,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 용화사 석불, 봉녕사 삼존석불,
조선시대ㆍ대한제국기
(1392년 ~1910년)
1413년(태종 13) 수원도호부
1526년(중종 21) 수원군 강등
1535년(중종 30) 수원도호부 복구
1789년(정조 13) 수원부 읍치 이전
1793년(정조 17) 신읍치 화성 명명, 화성유수부 승격
1794년(정조 18) 1월 7일 화성 성역 공사 착수
1796년(정조 20) 9월 10일 화성 성역 완공
1895년(고종 32) 수원군 강등
1896년(고종 33) 경기도 도청소재지
독성산성, 김준룡장군 전승지비, 화성(팔달문, 화서문, 낙남헌, 화령전), 수원향교, 심온 신도비, 지지대비, 역대목민관선정비군, ,미륵당 석불입상, 명고서원
일제강점기
(1910년 ~ 1945년)
1914년 3월 1일 수원면 (남양군 ․ 의왕시 흡수)
1931년 수원읍 승격
아담스기념관, 북수동성당, 옛 수원농림학교, 옛 부국원 건물, 옛 수원문화원 건물
해방 후
(1945년 ~ 현재)
1949년 8월 15일 수원시(27개동) 승격
1963년 1월 1일 수원시(47개동) 개편
1967년 6월 23일 경기도청 수원 이전 (서울 중구 세종로에서 이전)
1972년 18개동 통폐합
1988년 7월 1일 장안구, 권선구 분구
1993년 2월 1일 팔달구 신설
2003년 11월 24일 영통구 신설
 
출처: 수원문화원-수원을아시나요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변경금지 수원시청이 창작한 수원시 유래와역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전화번호 031-228-3085
  • 수정일 2021-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