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투표 비밀번호 입력

현장에서 발급받은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시민제안

(2504010004)
토론중

시민제안 게시물 댓글 구조 개편안을 제안합니다.

도**
2025.04.02 09:27 ~ 2025.05.02 09:27
댓글 1230
조회수 1764

 제가 알기론 새빛톡톡 가입자가 12만 명을 넘는 덕분에 이제 모든 게시물에 상당한 댓글이 달리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저는 시민제안과 설문조사를 포함한 게시물의 댓글 창에 변화를 준다면 이를 통해 수원 시민의 댓글 방식 토론이 질적으로 크게 향상하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의견은 여러 타인의 반대 의견과 부딪히며 쟁점에 관한 정확한 토론을 거침으로써 본인의 선입견을 해소하고 판단의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합니다. 저는 이를 근거로 댓글창 기능의 세 가지 변화를 요구합니다.
 
첫 째, 모든 댓글에 답글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합시다.
부연 설명: 좋아요를 많이 받은 댓글 아래에 답글을 남길 수 있다면 많은 분이 자기 의견을 소신 껏 낼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러운 토론이 계속 이어집니다.
 
둘 째, 댓글에 대한 답글에도 좋아요 기능을 추가해주세요.
부연 설명: 사람들은 어떤 의견 댓글에 대한 답글 내용을 통해서도 크게 공감하기 때문에 좋아요 기능이 필요합니다. 현재 많은 제안 게시물에는 제안 반대 의견 댓글이 가장 많은 좋아요를 받습니다. 그러나 답글 기능이 추가되고 거기에 좋아요를 누를 수 있다면 열람한 분들이 더 설득력 있는 논리에 지지할 것입니다.
 
셋 째, 새빛톡톡 제안 발의자가 작성한 댓글은 상단에 고정해 놓아 주세요.
부연 설명: 일단 발의자가 쓴 제안글은 업로드가 되면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상당한 찬반 댓글이 생깁니다. 알다시피, 댓글 위치는 좋아요가 많은 순서대로 위로 자리 잡는데요. 저는 1개월 전에 취업 사진 촬영 지업 사업 도입명목으로 제안글을 올렸습니다. 그 뒤 저는 제안글 댓글을 확인해보니 1 페이지가 전부 반대 의견으로 도배되어 있습니다. 저는 적어도 이런 의견에 대해 제 나름대로 생각으로 이해와 설득을 구하는 글을 작성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반대하는 분에게 제 의도를 명확히 할 만한 방법이 없습니다. 저는 제안글이 올라간 이후, 제안자와 독자 사이에 밀도 높은 대화를 이어가기 위한 취지로 제안자의 댓글은 상단 고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답글 기능도 열려 있어야 합니다. 어차피 예산을 사용하는 정책 제안은 이에 대한 반대자들과 끈질긴 토론 설득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민주주의 핵심은 토론입니다. 진정한 토론이 동반되지 않은 찬반 다수결 논리는 민주적 해결 방법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문제 해결 방법이 편의주의(便宜主義)에 빠질까 우려됩니다.

 저는 개선 사항 세 가지를 열거했습니다. 저는 제안글의 내용 타탕성을 떠나서 찬성과 반대를 포함한 의견 나눔이 댓글 창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공적 여론이 논리적 대화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길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지금은 그 길이 다소 마땅치 않으니까 댓글 대부분이 빈약한 근거를 대는 주장이 난무합니다. 사실 저는 유튜브 댓글창 구조를 착안하여 위 제안글을 씁니다. 유튜브 댓글창은 제가 어떤 비판글을 쓰면 그 내용을 갖고 누군가 제 의견에 비판할 여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호 의견을 수용하고 토론할 길이 열려 있습니다. 혹시 댓글 기능이 열리면 예의 없는 비방글이 많이 생길까 우려할 수 있는데요. 새빛톡톡은 공익 홈페이지라는 성격을 고려해보면 일단 유튜브와 포털사이트 보단 상대적으로 비방글의 수위와 발생 건수가 우려할 만큼 높지 않을 거라 예상해봅니다. 그리고 설령 단순 비방용 댓글이 달리면 새빛톡톡 관리자가 조금 신경써서 해당 작성자에게 이용 불이익을 부과한다면 길지 않은 시일 내 비방용 댓글을 잘 방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비방글이 무서워 토론을 피하는 방법은 어불성설(語不成說)과도 같습니다. 토론의 순기능이 그 역기능보다 몇배 정도 더 크게 작용하니까요. 그래서 저는 지금 새빛톡톡 댓글창 또한 활발한 토론의 길을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로 인해 갈등을 빗지만 반대로 말을 통해 화합하는 공간이 바로 민주사회 아니겠습니까. 열띤 토론만이 여론 오염 및 여론 물타기를 막는 유일한 길입니다. 시민 제안이 건전한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라면서 긴 글 마칩니다.
댓글의견 (0건)
0/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