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사업의 필요성]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e학습터 등 온라인 기반 수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들은 타자 입력, 마우스 조작, 기초적인 컴퓨터 활용에 어려움을 겪어 디지털 수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하기 어렵습니다.
기존 방과후 컴퓨터 수업은 일반 학생 중심이며, 꿈이든 바우처도 예체능 활동 위주여서 실제 교과 활용과 연계된 기초 디지털 교육은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마다 치료·재활 일정이 다르고, 가족의 사정도 다양해 고정된 시간의 수업 참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원시가 신청자의 희망 시간대를 사전 조사한 뒤, 맞춤형 1:1 교육 매칭으로 유연하게 운영하는 디지털 기초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
[사업내용]
대상: 수원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중인 초등학교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
운영방식:
타자 연습, 마우스 조작, 인터넷 사용, e학습터 접속 등 실생활 기반 기초 컴퓨터 수업
사전 신청 시 보호자와 학생의 선호 시간대를 조사하여 1:1 또는 2~3인 소규모 맞춤 매칭
주 1~2회, 회당 40분 내외
수업 시간은 학생의 치료·재활 일정과 겹치지 않도록 오후, 저녁, 주말, 방학 중 등 유연하게 운영
장소는 수원시 복지관, 작은도서관, 주민센터 등의 유휴 IT 교육 공간 활용
강사진 구성: 특수교육 경험자, 컴퓨터 강사, 사회복지사, IT 자원봉사자 등
---
[기대효과]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기초 디지털 역량 향상 및 수업 참여권 보장
학생의 생활패턴에 맞춘 맞춤형 수업 제공으로 참여율과 지속 가능성 향상
보호자의 돌봄 부담과 정보격차 완화
수원시의 공공자원 활용도 증가 및 디지털 포용도시 이미지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