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예약 상세검색 폼
  • 서비스 선택

    검색

    • 교육·강좌·체험
    • 공공시설
    • 체육시설
    • 장비대여
    • 사전상담예약
  • 지역선택

  • 신청기간

    • 예약가능
    • 날짜선택
    • 대여를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세요

강좌 상세정보

접수중
인문학·독서 소설 <순이 삼촌> 현기영 작가 북토크 <사월에 부는 바람>
강좌 상세보기 - 접수방법, 교육일정, 대상성별, 접수기간, 교육대상, 교육요일, 모집인원, 교육시간, 비용, 교육기관, 문의처, 교육장소, 담당자, 교육교재, 첨부파일, 준비사항, 교육목표, 교육내용
접수방법 인터넷 교육일정 2025-09-18 ~ 2025-09-18
대상성별 전체 접수기간 2025-08-13 ~ 2025-09-18
교육대상 전체 교육요일
모집인원 60명 교육시간 10:00 ~ 12:00
비용 무료 교육기관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문의처 031-248-9700 교육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위치보기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교육내용



<순이 삼촌> 현기영 작가
북토크<사월에 부는 바람>






제주 4.3의 비극을 알려온 소설 <순이 삼촌> 현기영 작가의 
삶과 문학 세계에 대한 북토크! 

강사 : 현기영(소설가) 
사회자 : 고영직(문학평론가)
일시 : 9.18.(목) 오전10~12시 
(강연 50분, 사회자의 진행으로 질의응답 및 참가자와의 대화 시간 50분 예정)  
장소 : 수원시평생학습관 2관 211호 나눔2
정원 : 100명 
대상 :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참가비 : 무료  


북토크 관련 저서 소개 : 사월에 부는 바람
『순이 삼촌』 『제주도우다』 작가 현기영의 삶과 문학을 아우르는 자전적 에세이로, 특유의 서정적인 문체가 돋보인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작가 현기영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만난다. 예닐곱 살 때 일어난 제주 4·3을 겪은 뒤 죽은 자를 위해 증언하는 것이 살아남은 자의 의무임을 깨달은 현기영은, 고등학교 교사 시절에 소설을 쓰기로 마음먹고 방학 때마다 제주에 내려가 취재한다.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순이 삼촌』이다. 그는 이 책 때문에 보안사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기도 한다.

45년 만에 다시 발동한 12·3 비상계엄은 작가 현기영이 겪었던 고문의 기억을 생생하게 되살아나게 한다. 또한 자신의 말더듬증과 우울증이 4·3의 충격에서 왔음을 고백한다. 현기영은 ‘제주 사람’이자 ‘4·3 작가’로서 이 세상을 성찰한다. 그의 글을 통해 우리는 제주도민의 삶뿐만 아니라,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온 한국 사회의 다양한 면모는 물론 현기영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엿볼 수 있다. (출처 : 인터넷 서점 알라딘) 

강사 소개 : 현기영(소설가)

1941년 제주에서 태어나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했다. 197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아버지」가 당선되어 창작활동을 시작한 이래, 제주도 현대사의 비극과 자연 속 인간의 삶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작품을 선보여왔다. 소설집 『순이 삼촌』 『아스팔트』 『마지막 테우리』, 장편소설 『제주도우다』(전 3권), 『변방에 우짖는 새』 『바람 타는 섬』 『지상에 숟가락 하나』 『누란』, 산문집 『바다와 술잔』 『젊은 대지를 위하여』 『소설가는 늙지 않는다』 등이 있다.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과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을 역임했으며, 만해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오영수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받았다. (출처 : 인터넷 서점 알라딘)

[사전 질문]
강연 주제와 관련된 질문 혹은, 북토크 해당 책을 읽고 생긴 질문 등을 미리 알려주시면,
강연 전에 강사님께 공유드릴 수 있고, 강연의 질의응답 시간에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가기 -> https://naver.me/xmBPKPez


사회자 소개 : 고영직(문학평론가)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사업 전문가 추진단장, 《아르떼 365》 편집위원. 《인문적 인간》 《삶의 시간을 잇는 문화예술교육》 등을 썼다.
강사 현기영, 고영직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 수원시청이 창작한 교육·강좌·체험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