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의 연혁] 평동 연혁 |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
---|---|
평동(坪洞)
1789년 수원부의 읍치(邑治)가 옮겨오기 전 이 지역은 수원부에 속하는 한적 한 시골 마을이었다. 1789년(정조 13) 9월 수원부의 읍치를 팔달산 동쪽 기슭으 로 옮기고 1796년 화성 신도시를 건설한 후, 팔달산 주변 지역을 남부(南部)와 북부(北部)로 나누었다. 이 때 남부의 14개 마을 중 ‘벌리(伐里)’가 현재의 평동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평 촌, 중보리(中洑里), 지장동(芝長洞) 일부를 통합하여 ‘평리’라 하여 안용면 관할 하에 두었다. 이후 1936년 10월 1일 조선 총독부령 제94호에 의하여 수원읍 이 확장 될 때, 수원군 일형면 평리 일부가 수원읍으로 편입되었다. 이 때 ‘대 평정(大坪町)’이란 일본식 마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해방이 되고 난 후인 1949년 8월 15일에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을 때는 ‘평동’으로 제 이름을 되찾았고, 1963년 1월 1일 안용면 6개 마을이 수원 시에 편입될 때, 고색리, 오목천리, 평리 등이 평동 관할로 들어 오게 되었다. 1972년 동 통합으로 평동은 평동, 고색동, 오목천동, 평리동 등을 포괄하는 행정 동이 되었다. 이후 1987년 1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357호에 의하여, 화성군 매송 면 호매실리 5리 일원이 평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87년 9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410호에 의하여, 탑동 일부가 편입되었다. 그리고 1988년 1월 1일 수원시 조 례 제1411호에 의하여, 평동 관할 구역이 평동, 고색동, 오목천동, 평리동 일 원, 호매실동 일부가 되었다. 1997년 12월 31일 현재 평동의 면적은 9.92㎢이며, 관할하는 법정동으로는 평 동, 고색동, 오목천동, 평리동 등이 있다. 평동이라는 이름은 평야와 관계되는 것이다. 너른 벌판 가운데 이루어진 마을이라는 데서, 옛부터 벌말, 벌리, 들 말, 평리 등으로 불리어진 것을 이어받은 것이다. 즉, 평동이라는 이름은 평평 한 벌판에 이루어진 마을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평동 1789년 수원부의 읍치(邑治)가 옮겨오기 전, 이 지역은 수원부에 속하는 한적 한 시골 마을이었다. 1789년(정조 13) 9월 수원부의 읍치를 팔달산 동쪽 기슭으 로 옮기고 1796년 화성 신도시를 건설한 후, 팔달산 주변 지역을 남부(南部)와 북부(北部)로 나누었다. 이 때 남부의 14개 마을 중 ‘벌리(伐里)’가 현재의 평동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평촌, 중보리(中洑里), 지장동(芝長洞) 일부를 통합하여 ‘평리’라 하여 안용면 관 할 하에 두었다. 이후 1936년 10월 1일 조선 총독부령 제94호에 의하여 수원읍 이 확장 될 때, 수원군 일형면 평리 일부가 수원읍으로 편입되었다. 이 때 ‘대 평정(大坪町)’이란 일본식 마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해방이 되고 난 후인 1949년 8월 15일에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을 때는 평동으로 제 이름을 되찾았고, 이후 현재까지 고색동, 오목천동, 평리동 등 과 함께 행정동 평동 관할의 법정동으로 자리하고 있다. 평동이라는 이름은 평야와 관계되는 것이다. 너른 벌판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의미의 벌리, 평리 등으로 불리어 오던 것을 이어 받은 것이다. ⊙ 고색동(古索洞) 이 지역은 본래 수원부 용복면에 속한 곳이었다. 1899년 발간된 『수원군읍 지』에 ‘고색리(古索里)라 표기되어 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 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용복면의 고색리, 중보평(中洑坪)과 남부면의 지 장동을 합쳐 고색리라 하여 안용면 관할이 되었다. 해방 이후인 1949년 8월 15 일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을 때는 화성군 용복면 고색리로 편제되었 다. 그리고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5호에 의하여 수원시로 편입되었는데, 이 때 평리, 오목천리와 함께 평동에 편제되어 오늘에 이른다. ⊙ 오목천동(梧木川洞) 이 지역은 본래 수원부 용복면에 속한 곳이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 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용복면의 오목천(梧木川), 고사촌(庫舍 村, 일명 고사리)을 합쳐 오목천리(梧木川里)라 하여 안용면 관할이 되었다. 해방 이후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을 때는, 화 성군 용복면 오목천리로 편제되었다. 이후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5호에 의하 여, 수원시로 편입되어 평리, 고색리와 함께 평동에 편제되었다. 오목천이라는 동 이름은, 이 지역을 흐르는 하천이 오목한 곳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오목내 또는 오목천이라 불리던 것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라 전해진다. ⊙ 평리동(坪里洞) 1789년 수원부의 읍치(邑治)가 옮겨오기 전 이 지역은 수원부에 속하는 한적 한 시골 마을이었다. 1789년(정조 13) 9월 수원부의 읍치를 팔달산 동쪽 기슭으 로 옮기고 1796년 화성 신도시를 건설한 후, 팔달산 주변 지역을 남부(南部)와 북부(北部)로 나누었다. 이 때 남부의 14개 마을 중 벌리(伐里)에 속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 경 때 평촌, 중보리(中洑里), 지장동(芝長洞) 일부를 통합하여 평리라 하여 안 용면 관할 하에 두었다. 이후 1936년 10월 1일 조선 총독부령 제94호에 의하여 수원읍이 확장되어 수원군 일형면 평리 일부가 수원읍으로 편입될 때, 이 지역 은 화성군 안용면 평리로 남아있었다. 이 지역이 수원시로 편입된 때는 1963년 1월 1일이다. 이 때 안용 면 6개 마을이 수원시에 편입되었는데, 고색리, 오목천리와 함께 평동 관할로 들 어 오게 되었다. 『통계연보』에 의하면 이와는 달리 평리동이 수원에 편입될 때 처음에는 곡선동에, 1965~1966년 사이에는 평동에 편제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 나 이는 확인할 수 없다. 현재 고색동, 오목천동, 평동, 그리고 호매실동 일부 와 함께 행정동 평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세평 지하도를 나와 산업 도로에서 좌 회전하면 들 가운데 있는 마을로 현재 20여 가구가 살고 있다. |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 이전글 [수원의 연혁] 송죽동 연혁
- 다음글 [수원의 연혁] 입북동 연혁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전화번호 031-228-3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