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이상 4개 대도시 공직자들 특례시 이해 높인다 | ||||||||||||||
첨부파일 | ||||||||||||||
---|---|---|---|---|---|---|---|---|---|---|---|---|---|---|
수원시, 창원시, 고양시, 용인시 등 내년 1월부터 특례시가 되는 4개 도시의 중간 관리자급 공직자들의 특례시 이해도를 높이는 특강이 열렸다. 김순은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은 18일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제2공학관 강당에서 4개 시 6급 공직자 112명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특강에는 33명의 수원시 공직자 33명이 참석했으며, 창원(29명), 고양(25명), 용인(25명)의 공직자들은 온라인 프로그램을 이용해 참여했다. 이날 특강 강사로 초빙된 김순은 위원장은 ‘우리나라 지방행정체제의 현황과 대도시 특례 제도의 정책방향’ 이라는 제목의 강의로 지방행정 최일선에 있는 공직자들에게 특례시에 대해 설명했다. 강의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환경과 현황, 문제점, 특례 제도의 정책과제 등에 대해 알아본 뒤 특례제도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펼쳐졌다. 특히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선진국의 도시행정체제에 대해 짚어보며 우리나라에서 최초 특례시가 될 4개 도시의 현실적인 발전 방향에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김순은 위원장은 “특례시 출범으로 당장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많지 않겠지만, 실무자들의 현장감 넘치는 건의가 더 완성된 특례시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특례시 제도 역량강화 교육’은 특례시 출범을 앞둔 4개 도시의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관·학 연계 공통교육으로 추진됐다. 수원-성균관대, 용인-명지대, 고양-중부대, 창원-창원대가 연계해 6월 한 달 간 매주 금요일 실시간 온라인 교육을 진행 중이다. |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공보관
- 전화번호 031-5191-2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