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교육

인권교육 추진내용 상세내용(게시판 상세내용으로 제목,등록자명,등록일시,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2023년 인권 웹툰 「수원시×단호리의 인권탐구일기」 11화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권'
작성자 : 담당자 작성일 : 2023/08/31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수원시와 단호리의 인권탐구일기 11화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권





언젠가부터 길을 묻는 질문이 낯설게 느껴진다.





우리나라 디지털 기기 보급율이 높아졌다고 하나,





디지털기기 활용에 익숙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제약을 느끼는 디지털 취약계층이 있다.





이들을 위해 지역 곳곳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데,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기기 활용 능력뿐만 아니라 디지털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더 복잡하고 넓은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어렵게만 느껴지는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부족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 걸까?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에만 반응하는 '팝콘브레인' 현상은 디지털기기 사용에 대한 조절 능력 저하로 뇌발달과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보도한 것처럼 만들어진 극단적인 가짜뉴스는 언 뜻 봐서는 구분하기 어려워 잘못된 정보를 별  의심없이 믿게 된다.





이로 인해 우리는 알 권리를 침해당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자녀를 사칭하는 문자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링크를 무심결에 눌러 중요한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금전적인 손해를 보는 스미싱 피해 사례나,





타인의 댓글을 보는 것에 익숙해져 스스로 판단하고 사고하는 힘이 약해지는 것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부재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우리는 디지털 사회의 이점을 마음껏 누리고 살고 있지만





과연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얼마나 충분히 갖추고 있을까?





전문가들은 지금보다 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디지털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익히는 사람도





디지털 사회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며 디지털 위해로부터 자신의 인권을 보호하고,





연대를 바탕으로 타인과 협력하기 위한 역량을 키울 수 있여야 한다고 말한다.





결국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리가 마땅히 지켜야 하는 보편적인 가치를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건강한 디지털 사회를 위해서 많은 시민들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과 환경이 마련되길 바란다.






**********************************************************************************************************************************************
수원시와 지역예술인 단호리 작가가 함께 제작한 2023년 인권 웹툰 「수원시×단호리의 인권탐구일기」 시즌3에서는
총 4회(3월, 5월, 8월, 11월)에 걸쳐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인권'을 주제를 가지고 4가지 사회 이슈(노동, 아동, 디지털 문해력, 정보)를 웹툰 소재로 선보이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구독 바랍니다.
※ 해당 웹툰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으며, 담당부서인 인권담당관(031-228-2666)과의 사전 협의 없이
저작물 이용(복제, 전시, 배포 등과 2차적 저작물과 편집저작물)이 불가함을 알려 드립니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인권담당관
  • 전화번호 031-228-2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