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대왕 이 부왕(사도세자)의 묘가 있는 현륭원을 참배할 때 왕래하던 효행의 길로 정조의 지극한 효심을 느낄 수 있는 길
볼거리
- 효행공원 :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묻힌 현륭원을 참배하며 다니던 지지대고개 옆으로 그의 효성을 추모하고 본받기 위해서 조성된 공원
- 노송지대 : 정조의 능행차길 길목으로 역사적 문화자원이며 자연경관으로도 우수한 곳
- 만석공원(만석거) : 정조가 조성한 만석거리는 저수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
- 화성행궁, 수원화성박물관, 장안문, 팔달문, 수원천 등
즐길거리
- 음식문화 축제화성행궁 주차장(10월 중), 화성문화제행사가 열리며 다양한 문화 이벤트
- 시민퍼레이드(10월 중), 수원화성 국제연극제(화성행궁 8월 중), 수원화성 야경, 국궁활쏘기체험 등
찾아가기
- 출발점 : 효행공원(수원북부권 버스공영 차고지 버스정류장에서 도보 5분)
- 도착점 : 수원~화성시계(대왕교, 활주로 버스정류장)
노선경로
- 효행공원 → 노송지대 → 북수원시장 → 만석공원 → 장안문 → 팔달문 → 매교삼거리 → 수원시경계
주요구간별 소요시간 및 거리
- 총 거리 12.3㎞ 4시간 30분
- 야외 걷기 30분 약 70kcal소모(성인남성 67㎏기준 보건복지부 출처)
- 효행공원
1.5km 25분60kcal
- 노송지대
2.2km 35분80kcal
- 만석공원 만석거
2.2km 35분80kcal
- 장안문
0.7km 15분35kcal
- 화성행궁
0.6km 10분25kcal
- 팔달문
6.0km 90분205kcal
- 수인천
지지대비

- 조선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추모하고 본받기 위하여 1807년(순조 7)에 화성 어사 신현(申絢)이 건립
- 정조의 행차가 느릿느릿 하였다 하여 이곳의 이름을 느릴 지(遲)자 두 자를 붙여 지지대(遲遲臺)라 함
장안문

- 국보에서 제일 큰 문이고, 화성의 북문인 장안문은 문루의 높이가 13.5m, 너비가 9m로서 성 중앙에 문을 내 남문인 팔달문과 마주보고 있음
- 축제 및 행사 : 생태학습 프로그램, 튤립축제 등
- 편의시설 : 쉼터, 체력단련시설, 산책로 등
효행공원

-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묻힌 현륭원을 참배하며 다니던 고개인 지지대비 옆으로 그의 효성을 추모하고 본받기 위해서 조성된 공원
- 주변 볼거리 : 지지대비, 참전기념비, 효행기념관 등
- 편의시설 : 화장실, 잔디광장, 휴게쉼터 등
용연

-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을 살려 용연 수면 가운데 당주(섬)를 만들어 놓고 버드나무를 심어, 남쪽 가파른 언덕 위 방화수류정과 용머리 바위, 그리고 버드나무 줄기 사이로 떠오르는 보름달이 수면 위에 비추어지는 아름다운 정취를 용지대월이라 하며 수원팔경 중 하나임
노송지대

- 정조의 능행차길 길목으로 역사적 문화 자원이며 낙락장송의 울창한 자연경관으로도 우수한 곳임
- 지지대고개 정상으로부터 구 경수간(京水間) 국도를 따라 약 5㎞에 걸쳐 조성
- 편의시설 : 휴게쉼터, 안내판 등
화홍문

- 수원화성의 북수문인 화홍문은 화강암으로 쌓은 다리 위에 지은 문 남북으로 흐르는 수원천의 범람을 막아 주는 동시에 방어적 기능까지 갖추고 있음
- 수문을 통하여 맑은 물이 넘쳐 흘러 물보라를 일으키는데, 이 때, 현란한 무지개가 화홍문을 한층 더 아름 답게 해주며 이는 수원팔경 중 하나인 화홍관창이라 함
만석공원(만석거)

- 1795년 화성의 농업 발전을 위해 조성된 수리(水利) 시설인 만석거로, 북지라고도 불림. 일제시기에 일왕면에 위치하여 일왕저수지로 불렸고, 이 저수지에 곱게 피어난 연꽃이 절경이라 수원팔경에 북지상련(北池賞蓮)이 포함됨. 저수지 주변을 만석공원으로 조성
- 편의시설 : 휴게쉼터, 자전거길, 산책로, 운동시설 등
수원천 버드나무길

- 수원팔경 중 하나인 남제장류 중 남제는 화홍문에서 화릉산앞까지 이르는 수원천의 긴 제방이며 그 둑 양편에 늘어서 있는 수양버들을 장류라고 함
- 직강화된 수원천은 자연형 하천,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조성하는 등 하천 생태계 복원
안내도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녹지경관과
- 전화번호 031-228-4568
- 수정일 2022-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