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정책 기본계획
추진기간 : 2019. ~ 2023.(2기)
비전 및 추진방향
비전
모든 시민이 존중받는 행복한 인권도시 수원

추진방향
- 참여적
인권도시 - 보편적
인권도시 - 실천적
인권도시
정책목표 & 중점과제
-
사회적 약자의
인권증진- 1. 장애인 인권증진
- 2. 여성 인권증진
- 3. 아동·청소년 인권증진
- 4. 노인 인권증진
- 5. 다문화·북한이탈주민
인권증진 - 6.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의 인권증진
-
인권도시
환경조성- 1. 모두가 안전한 도시
- 2. 모두가 이동이 편리한
도시 - 3. 모두가 쾌적한 주거환경
도시 등을 통한 인권도시 환경 조성
-
인권 문화
확산- 1. 인권교육 활성화
- 2. 인권친화적 문화 조성 등을 통한 인권문화 확산
-
인권 행정 제도
내실화- 1. 인권행정 체계 구축
- 2. 인권증진 제도 개선
- 3. 인권정책 선순환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인권행정 제도 내실화
-
인권 거버넌스
강화- 1. 시민참여 중심의
인권정책 실현 - 2. 포용적 인권 거버넌스
실현 등을 통한 인권 거버넌스 강화
- 1. 시민참여 중심의
사업내용
- 인권정책 기본계획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 및 사업 평가
- 인권정책 기본계획 연도별 시행계획 검토 및 인권위원회 보고
- 인권정책 관련 부서 간 협업체계 구축 및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
인권교육
인권교육 목표
- 공직자 인권교육을 통한 적극적 인권행정 구현
- 시민 인권교육 활성화 및 인권문화 확산
추진근거
- 수원시 인권기본조례 제8조(인권교육의 실시)
추진방향
- 공직자(시의원, 공무원) 대상 인권교육 정례화
- 지역사회 리더?시민 대상 인권교육 추진
- 수원형 인권교육 강사풀?프로그램 개발
- 인권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체계 및 네트워크 구축
세부 추진계획
구분 | 공직자 인권교육 | 찾아가는 인권교육 | 사이버 인권교육 | 시민 인권교육 | ||
---|---|---|---|---|---|---|
교육기간 | 2022. 3월~12월 | 2022. 4월~12월 | 연중 | 2022. 3월~12월 | ||
교육대상 | 시의원, 5급 이상 간부공무원 (각 연 1회) |
6급 공무원 (연 10회) |
|
시 산하 전 공직자 (자율) |
수원시민 (연 4회) |
인권교육단체 활동가 및 인권강사 등(연 2회) |
교육내용 |
|
민주적이고 인권적인 조직문화 형성(직장 내 갑질 예방교육 등)
|
당사자(아동·청소년, 여성, 장애인, 노인, 이주민, 노숙인 등) 인권교육, 인권감수성 향상, 인권침해 사례 및 예방교육 등 | 공정사회 및 인권사회 구현등 9개 과정 |
뉴노멀 시대의 새롭게 떠오르는 인권이슈와 미래 변화(메타버스 시대, 가족구성의 변화, 기후위기, ESG 등과 인권 이야기) 등 | 국내외 인권 이슈, 온라인 플랫폼 활용법 등 |
추진방법 | 인권 전문강사 초청, 집합 또는 비대면(ZOOM) 교육 | 인권교육을 희망하는 기관(단체)을 선정하여 강사파견, 집합 교육 실시 | 경기도인재개발원(E-HRD) 교육 신청 후 온라인 수강 | 인권 콘텐츠(웹툰 등) 제작 및 배포 | 관내 인권교육 관계자 대상 역량강화 연수 실시 |
인권증진 보조사업
인권증진 보조사업의 목적
- 다양한 인권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시민의 인권의식의 향상 도모
- 인권 감수성 향상을 통한 인권공감대 형성 및 인권친화적 문화 확산
추진근거
- 수원시 인권기본조례 제5조(시장의 책무)
- 수원시 인권기본조례 제12조(인권증진 활동 지원)
추진방향
- 인권교육 내실화 및 인권의 지역화를 위해 인권교육 콘텐츠 개발 지정공모사업 특화
- 관내 소재 인권단체 대상 참신하고 지속가능한 사업을 발굴·지원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인권담당관
- 전화번호 031-228-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