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탄소중립 목표와 비전

제1차 수원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2025~2034 비전 탄소중립, 시민의 일상이 되다 목표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 수원시 부문별 연도별 온실가스 목표배출량(수원시 관리권한) 수원시 관리대상 : 건물 수송 농축산 폐기물 흡수원 권리권한 배출비율(2018년) 농축산0.1% 수송33.1% 폐기물3.5% 건물 가정31.1% 상업/공공32.2% 6,379.82천톤 감축40% 3,826.16천톤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천톤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 2018년~2020년 GIR 데이터(2023.6. 기준) / 2021~2024년 배출전망(BAU) / 2025년부터 목표배출량 추진방향 탄소중립도시 혁신기반 구축 기후정의 실현 시민주도 자원순환 촉진 녹색생활 문화 확산 탄소중립 그린도시 조성
수원시 온실가스 배출량(산업 부문 제외)
온실가스 배출량(단위 : 만톤CO2eq, 톤CO2eq/인)
구 분 | 2018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배출량 | 638 | 573.4 | 551.0 | 554.4 |
인구수(명) | 1,242,212 | 1,221,913 | 1,216,965 | 1,225,058 |
1인당 배출량 | 5.1 | 4.7 | 4.5 | 4.5 |
* 국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GIR) 공표 자료 가공
2022년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단위 : 만톤 CO2 eq)
구 분 | 건물 | 수송 | 폐기물 | 농축산 |
---|---|---|---|---|
2022년 | 339.5 | 204.4 | 10.0 | 0.5 |
2030 목표 달성을 위한 수원시 추진전략

온실가스 감축 전략 건물 •재생에너지 보급체계 구축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 •건물 온실가스 감축 기반 강화 •기후정의를 위한 에너지 복지 •기후 위기 대응형 물순환도시 4,039.2 감축51%↓ 1,978.4 1,829.1 2018 2030 2034 수송 •친환경 운송수단 확충 •철도망 및 서비스 개선 •대중교통 이용 활성 •녹색 교통문화 확산 2,110.9 감축13.3%↓ 1,830.0 1,808.4 2018 2030 2034 자원순환(폐기물) •폐기물 발생 저감 •폐자원 재활용 •폐자원에너지 회수 및 활용 222.1 감축89.2%↓ 23.9 17.7 2018 2030 2034 농축산 •친환경 농업기술 보급 •친환경 농업문화 정착 7.7 감축60.9%↓ 3.0 2.4 2018 2030 2034 흡수원 •그린네트워크 확대 •녹색 흡수원 강화 •친환경 폐목재 재활용 흡수량 2.7 9.2 ↑240% 증가 10.0 2018 2030 2034 녹색생활 및 정책 •새빛 넷제로 키퍼 •시민동행 탄소중립 •녹색생활 및 정책 확산 기후위기 대응기반 강화 기후위기 적응 •데이터 기반의 취약지역 및 취약계층 보호강화 •기후재난 피해 최소화 공유재산 대응 •공유재산 기후위기 대응체계 구축 •공유문화‧자연자원의 탄소흡수원 가치 제고 국제‧지자체 협력 •국제 도시 및 기관 기후네트워크 강화 •지역 상호 정보공유 및 협력 교육‧소통 •맞춤형 탄소중립 교육 •지속가능한 시민참여 문화 조성 녹색성장 촉진 •녹색기술 혁신 지원 •기후테크 거버넌스 구축 청정에너지 전환 •재생에너지 제도 개선 •민간참여 확대 정의로운 전환 •정의로운 전환 대응기반 구축 •고탄소 업종 및 종사자 지원 인력양성 •탄소중립 전문인력 양성 •시민 탄소중립 참여 및 지원방안 마련 기반체계 제도 •탄소중립 기본법 •수원시 탄소중립 기본조례 이행 •기본계획 수립(5년단위) •이행평가 실시(1년단위) 협업 •주관부서 및 유관부서 + 탄소중립지원센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기후에너지과
- 전화번호 031-5191-2852
- 수정일 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