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업 명 | 사 업 개 요 | 진 행 상 황 | ||||
---|---|---|---|---|---|---|
위치/노선 | 기간 (년) |
사업내용 (km, ㎡) |
총사업비 (억원) |
|||
수도권 1호선 |
수도권 1호선 |
동두천~서울~ 수원~신창 |
1974 | 10.6km | - | • 운영중 |
수원발 KTX | 서정리역~ 지제역 |
2021~ 2026 |
L=9.99km | 3,388 | • 공사 추진중(공정률 65.1%[2분기 기준]) ☞ 세부추진사항 |
|
GTX-C (수도권광역급행철도) |
수원~인덕원~ 양재~창동~ 양주(덕정) |
2023~ 2028 |
L=86.4km | 46,084 | • 실시계획 변경(2차) 협의중 ☞ 세부추진사항 |
|
수인분당선 | 청량리~왕십리~오리~ 수원~인천 |
1990~ 2020 |
L=106.9km (시14.12km) |
52,045 (시2,437) |
• 운영중 | |
신분당선 | 1단계 (정자~광교) |
성남~용인~ 광교 |
2005~ 2016. 2. |
L=12.8km (시 3.1km) |
15,343 (시 67) |
• 운영중 |
2단계 (광교~호매실) |
광교~화서~ 구운~호매실 |
2006~ 2029 |
L=9.88km (시 9.88km) |
12,533 (시 2,325) |
• 공사 추진중(공정률 4.5%) • 구운역(가칭) 중앙투자심사중 ☞ 세부추진사항 |
|
호매실~봉담 | 호매실~봉담 | - | L=6.96km | 5,366 |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타당성 미확보(KDI) | |
동탄인덕원선 (인덕원~수원~동탄) |
인덕원~북수원~ 영통~동탄2 |
2018~ 2028 |
L=38.3km (13.6km) |
40,732 (수원시 737) |
• 공사 추진중(공정률 15.8%) ☞ 세부추진사항 |
|
도시철도1호선 (트램) |
수원역~팔달문~ 장안문~북수원 |
제안서 접수 후 6년 소요 |
무가선트램 (L=6.5km) |
3,022 | • 민간제안 대기중 | |
동탄도시철도(트램) 망포역 연장 |
망포역~동탄역~오산역 병점역~동탄역~동탄차량기지 |
2021 ~2028 |
망포~오산: 16.6km 병점~차량기지: 17.8km |
10,722 | •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 공고중 ☞ 세부추진사항 |
수원시 철도 네트워크

미래 녹색교통기술(12개 시스템) 소개
출처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기술마케팅·지원실
시스템명 | 차량사진 | 특징 |
---|---|---|
도시 내 ’교통 시스템 - 주요‘ 간선 축 ’적용 시스템 | ||
한국형 경량전철 | ![]() |
- 특징 : 고무 타이어, 경량 차량, 전용 주행로, 원격제어 가능 - 상용화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12.7km) .국내 최초 상용화, 무인운전 시스템 - 추진사업 : 서울 신림선, 동북선 등, 천안시, 김포시(국내), 브라질, 캄보디아(해외) |
차세대 전동차 | ![]() |
- 특징 : 직접구동전동기, 첨단 IT 적용 .수송능력 10%, 차량 신뢰성 20%, 환경 친화성 10%, 유지보수성 20%, 승개서비스 30% 향상 / 에너지 소비 20% 감소 -상용화 : 부산 도시철도 (계획 중) .1호선, 신평-다대포 (7.89km), 6편성(48량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 ![]() |
- 특징 : 자석의 반발력, 선형 전동기 .구배 등판능력 향상, 승차감 30%, 부상공극 변동률 40%, 커브 트래킹 60% 향상 - 상용화 : 인천국제공항 (계획 중) - 추진사업 :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추진사업 .(2006.12-2012.12, 6년) |
저심도 지하철도 | ![]() |
- 특징 : 도로 직하부 운행, 도시 친화적 .천심 굴착, 최소 환승거리, 저상 차량, 경제적 급전, 인프라 최적화 - 요소기술 : 독립차륜, 양측식 LIM, 내충격 / 차음, Section. 전원 공급, 비접촉 급전 |
도시 내 ’교통 시스템 - 주요‘ 지선 축 ’적용 시스템 | ||
무가선 트램 | ![]() |
- 특징 : 배터리를 주동력, 무가선 및 유가선 하이브리드 운행, 기존선 호환, 저상 .친환경성, 에너지 효율성, 편리성, 경제성 - 상용화 : 프랑스, 캐나다, 일본 - 추진사업 : 서울시, 제주도 등(검토), 위례 신도시 등(기본계획), 창원시, 울산시(예타) |
바이모달 트램 | ![]() |
- 특징 : 철도의 정시성 + 버스의 유연성 .건설비 절감(기존도로), 정시성, 수송능력 - 상용화 : 네덜란드, 프랑스, 스위스 - 추진사업 : 부천시, 동탄 신도시, 새만금 방조제 등 도입계획 |
한국형 PRT | ![]() |
- 특징 : 운행시간 지연 없이 무인운전 가능한 소수정원의 궤도 수송차 - 승객 맞춤형, 환승 편의성(수평/수직) - 상용화 : 영국(히드로), UAE(마스다르) - 추진사업 : 순천만, 인천국제공항(국내), 두바이, 다벤트리, 산죠제(해외) |
온라인 전기자동차 | ![]() |
- 특징 : 도로를 충전소로 활용, 실시간 대용량 무선충전(배터리&충전문제 해결) - 상용화 : 서울대공원(2.2km)-연료비절감 - 추진사업 : 세종시, 제주 중문단지 등(국내), 말레이시아, 미국(해외) |
지역 간 ’교통 시스템 | ||
차세대 고속철도 | ![]() |
- 특징 : 최고속도 430km/h, 동력분산형 - 최근 동력분산식 차량 도입 추세(중국, 러시아, 스페인, 이태리) - 상용화 : 국내KTX 대체, 신규 해외진출 |
신소재 틸팅열차 | ![]() |
- 특징 : 차체틸팅, 곡선부 주행속도 향상 - 경량화(복합소재), 200km/h, 최대 8도 - 상용화 : 해당없음 - 추진사업 : 경부선, 호남선 |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 ![]() |
○ 특징 : 자석의 반발력, 선형 전동기 - 상용화 : 중국 푸동공항(최고 430km/h) - 추진사업 : 일본 추오신칸센(2027 예정) |
대심도 급행철도 | ![]() |
- 특징 : 지하 40m이상, 초 장대터널 .200km/h 고속주행, 터널 최적단면, 역사/환승 시설, 지하 공기질 - 상용화 : 해당없음 - 추진사업 : 경기도 GTX 사업(145.5km) |
녹색교통기술 소개(12 시스템) 판넬전시

판넬전시 전체 모습

도시 내‘간선 축’적용 교통시스템

도시 내‘지선 축’적용 교통시스템

지역간 적용 교통시스템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첨단교통과
- 전화번호 031-5191-2320
- 수정일 2025-09-08